코로나 백신접종"이런 사람 백신 맞으면 안 된다"
접종하는 날 신분증을 반드시 챙겨야 합니다.

코로나19 백신을 맞는 날 급성 병증이 있거나 열이 있다면 접종이 연기된다. 접종 시에도 마스크를 써야 한다.
특정 성분에 알레르기가 없다면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 등도 접종을 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은 23일 ‘코로나19 백신 및 예방접종’ 사이트에 이 같은 내용의 예방접종 지침, 예진표 등을 공개했다.

―코로나19 백신을 맞으면 안 되는 사람은.
“이전에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아나필락시스(급성중증알레르기반응) 발생 이력이 있거나 (과거) 코로나19 백신 성분에 대한 확인된 아나필락시스 발생 이력이 있는 사람에게는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해선 안 된다. 임신부도 접종에서 제외된다. 모유 수유부는 아나필락시스 이력 등 금기사항만 없다면 예방접종이 권고된다.”

―코로나19 감염 이력이 있거나 현재 증상이 있는 사람이 접종해도 되나.
“급성 병증이나 코로나19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회복될 때까지 예방접종을 권고하지 않는다. 37.5도 이상 열이 나는 경우도 예진의사의 판단에 따라 열이 떨어지고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예방접종을 연기한다. 감기, 설사 등 경미한 질환으로 접종을 미룰 필요는 없다. 자가격리 중인 확진자 및 접촉자는 격리해제 후 접종이 가능하다. 코로나19에 감염됐던 사람의 경우도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다.”

―만성질환자도 예방접종해도 괜찮나.
“만성질환자는 우선접종 권장대상으로, 가급적 접종받도록 권고한다. 또 면역저하자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권고한다. 다만 면역저하자의 경우 백신 면역반응이 감소하고 효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진표는 어떤 내용인가.
“예진표는 ‘이전과 다르게 오늘 아픈 곳이 있는가’, ‘중증알레르기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서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가’, ‘혈액 응고 장애를 앓고 있는가’, ‘임신 중인가’ 등의 문항으로 구성돼 있다. 예진표에 없는 내용이라도 건강상 특이사항이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1, 2차 접종간격은 어떻게 되나. 1, 2차 때 다른 백신을 맞아도 되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8~12주, 모더나 백신은 28일, 화이자는 21일 간격으로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현재까지 서로 다른 종류의 코로나19 백신 간의 교차접종 시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근거가 없어 1, 2차 같은 백신으로 접종한다.”

―접종 후
우선 백신을 맞고 나면 15분에서 30분 동안 기다려야 합니다.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가 없어서 집에 왔다면 접종 부위를 깨끗하게 해야 합니다.
3일 정도는 관심을 갖고 관찰하는 게 좋습니다.
가벼운 이상 반응은 통상 3일 이내에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붓기나 통증 등은 흔하게 나타납니다.
피로감이나 두통 근육통이나 발열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접종 후 주의할 점은.
“일반적으로 백신 접종 후 방어항체가 형성되는 데는 2주가량 걸린다. 바로 면역이 형성되는 게 아닌 만큼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등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반응이 나타나면 보건 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요양병원·시설 담당자는 예방접종 당일부터 7일까지 입원·입소자를 매일 모니터링해야 한다.”
관련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